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다 먹는’ 세대
옴니보어의 뜻과 기원
‘옴니보어(omnivore)’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모든 것을 먹는 존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육식과 초식을 가리지 않고 섭취하는 잡식성 동물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소비 행태를 분석할 때 자주 사용된다. 특히 소비 트렌드 분야에서는 정해진 취향이나 브랜드,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 자유롭게 소비하는 현대인의 특징을 설명할 때 ‘옴니보어’라는 개념이 쓰인다.
이들은 한 가지 스타일에 정착하지 않고, 때로는 명품을, 때로는 중고 물품을, 또 어떤 때는 친환경 제품을 구입한다. 소비의 기준은 ‘일관성’보다는 ‘다양성’에 있다.
옴니보어와 다른 소비 유형 비교
소비자 유형 특징 구매 기준 예시
미니멀리스트 | 꼭 필요한 것만 구매 | 실용성, 절제 | 생필품 위주 쇼핑 |
맥시멀리스트 | 많은 것을 소유하려 함 | 트렌드, 풍요 | 다채로운 아이템 수집 |
옴니보어 | 영역과 장르를 가리지 않음 | 다양성, 경험 | 고가+저가 혼합 소비 |
이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옴니보어는 특정 성향에 구속받지 않는다. 그날의 기분, 사회적 메시지, 혹은 단순한 호기심까지도 소비의 이유가 된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유연한 소비 방식이다.
옴니보어는 왜 지금 주목받는가?
디지털 환경이 발전하면서 소비자들은 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브랜드의 가치, 생산과정, 지속가능성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선택은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경험과 가치 중심으로 변화하게 된다.
옴니보어는 단순히 이것저것 사는 사람이 아니다. 자신만의 기준과 의미를 부여하며, 때론 고급 소비를, 때론 절제된 소비를 선택한다. 이러한 모습은 MZ세대와 Z세대에게서 두드러지며, 이들이 주도하는 소비 트렌드는 점점 ‘잡식성’으로 진화하고 있다.
예시 1. 럭셔리+중고 혼합 소비
요즘 2030세대는 명품 백을 구매하면서 동시에 중고 플랫폼에서 의류를 거래한다. 이는 '지속가능성'과 '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옴니보어적 소비 행태다.
예시 2. 친환경+편의성 소비
샴푸는 친환경 고체 샴푸를 쓰지만, 바쁜 날엔 일반 제품을 사용하는 식이다. 옴니보어는 소비 트렌드를 수용하되, 절대 강박적으로 따르지 않는다. 유연한 선택이 핵심이다.
기업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기업 입장에서는 옴니보어 소비자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들은 브랜드 충성도보다 순간의 경험과 의미를 중시하므로, 일관된 메시지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제시하는 유연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 제품이 고급스러우면서도 윤리적인 생산 방식을 갖췄다는 점을 강조하면 옴니보어에게 어필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의 소비 트렌드에서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옴니보어’는 단순히 이것저것 소비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경험, 다양성, 유연성을 중심으로 소비하는 신세대의 상징이다.
이러한 잡식성 소비는 앞으로의 소비 트렌드에서 중심축이 될 것으로 보이며, 기업과 소비자 모두 이에 발맞춘 변화가 필요하다.
'도움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띄어쓰기 할 수 있다 (0) | 2025.04.14 |
---|---|
희망저축계좌 1, 희망저축계좌 2 제도 2025년 안내 (0) | 2025.04.13 |
탄핵 후 대한민국 대선 일정 (0) | 2025.04.04 |
2025 국민연금 개정안 : 청년 세대가 불평등하다고 느끼는 이유 (0) | 2025.04.02 |
부의금과 부조금의 차이, 부주금은 뭘까? (0) | 2025.04.02 |